Economy & Finance

파이코인 (Pi Network) 상세분석 리포트

지식전달자 2025. 3. 18. 19:36
반응형

1. 철학적 배경 – 개발 목적과 비전

파이코인(Pi Network)은 **“일상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2019년 3월 14일(파이데이)에 출범했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스탠퍼드 대학 출신 개발진(니콜라스 콕칼리스, 청디아오 판 등)은 비트코인의 철학에 영감을 받아 “모바일 중심의 소셜 암호화폐”로 비트코인을 재창조하고자 했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기존 금융에서 은행이나 PayPal 같은 중앙 중개자가 수수료와 제한을 두는 문제를 인식하고, 블록체인으로 탈중앙화된 P2P 거래를 실현하여 누구나 금융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하겠다는 비전을 밝혔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특히 파이코인 팀은 **“일상의 보통 사람들”**이 암호화폐 보안과 네트워크 성장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이를 위해 **포용적이고 meritocratic(기여 기반 보상)**인 시스템을 지향하여,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암호화폐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내세웠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개발진은 “블록체인을 통해 인류의 잠재력을 글로벌 규모로 발휘하도록 돕는 것”을 사명으로 삼았고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사용성대중적 참여에 중점을 두어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쓸 수 있는 앱을 설계했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이런 철학적 배경 아래 파이 네트워크는 암호화폐 채굴을 스마트폰 앱으로 단순화하고, 커뮤니티의 힘으로 성장하는 세계적 P2P 경제 구축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2. 기술적 측면 – 합의 알고리즘과 모바일 채굴

파이코인은 합의 알고리즘으로 비트코인 등의 작업증명(PoW)이나 지분증명(PoS)을 사용하지 않고, 신뢰 기반의 독자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이는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SCP)**과 **연방 비잔틴 합의(FBA)**에 기반한 알고리즘으로, 노드들이 신뢰하는 이웃들과 **쿼럼(quorum)**을 형성해 거래를 검증합니다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요약하면, 파이 네트워크에서는 사용자들이 서로를 **“보안 서클”**로 지정하여 신뢰 그래프(trust graph)를 구축하고, 이 전세계 신뢰 그래프를 바탕으로 합의가 이루어집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이러한 방식은 비트코인의 PoW처럼 막대한 연산력이나 전기를 요구하지 않으며, 이론적으로 에너지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입니다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또한 토큰을 담보로 잡는 PoS와도 달리, 금전적 지분 없이 사회적 신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보안을 확보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다만 이런 신뢰 메커니즘은 검증자들의 **선의(善意)**에 의존하는 측면이 있어, PoW/PoS의 경제적 인센티브와는 다른 보안 도전을 안고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모바일 채굴 방식은 파이코인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입니다. 파이 네트워크 앱을 설치한 사용자는 하루에 한 번 버튼을 눌러 자신의 활동을 증명하면 일정량의 파이를 얻습니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 자체가 복잡한 연산을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들은 **신뢰 연결(보안 서클 참여)**과 일일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에 기여합니다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실제 합의 프로토콜을 돌리는 것은 별도의 컴퓨터 노드들이 담당하며, 휴대폰 채굴자들은 자신의 신뢰 관계를 확인하고 유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채굴에 참여합니다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즉, 파이코인의 “채굴”이란 휴대폰으로 단순한 작업을 수행해 네트워크 신뢰성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토큰을 배분받는 것입니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파이 앱은 배터리 소모나 데이터 사용이 거의 없고, 누구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는 초경량 채굴을 실현했습니다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파이 네트워크 모바일 앱 초기 화면. 사용자들은 24시간마다 앱의 번개 모양 버튼을 눌러 채굴 세션을 시작하며, 오른쪽에 보이는 방패와 사람 아이콘은 각각 보안 서클 신뢰도와 추천인 수에 따른 보너스를 나타낸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이렇게 간편한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파이코인의 “누구나 채굴” 철학을 보여준다.

파이코인의 합의 구조는 기술적으로 흥미롭지만, 중앙화 논란도 있습니다. 네트워크 초기에 노드는 제한적이었고, 개발팀이 노드 소프트웨어를 통제하면서 일종의 승인된 합의(Proof-of-Authority 유사) 형태였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Can Pi Network Fulfill Its Promise? Exploring Its Role in the Crypto ...). 그러나 프로젝트 팀은 2021년 이후 테스트넷 노드 1만 개 이상을 운영하며 메인넷 이행을 준비했고, 오픈 네트워크 단계에서는 최대 10만 개 이상의 커뮤니티 노드로 탈중앙화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여전히 파이의 코드 공개나 기술 문서가 부족했던 부분은 비판을 받았지만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2023년 로드맵 발표 등을 통해 기술적 진전을 커뮤니티에 공유하기 시작했습니다 ( The truth about Pi coin: Could it be the next Bitcoin? — TradingView News). 정리하면, 파이 네트워크는 신뢰 기반 합의 알고리즘모바일 채굴 UX로 기술적 차별화를 꾀했지만, 초기 중앙 통제와 보안 검증의 문제를 완전히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3. 경제적 분석 – 토크노믹스와 가치 요인

파이코인의 **토크노믹스(Tokenomics)**는 포용성과 희소성의 균형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Pi Cryptocurrency White Paper | Pi Network). 비트코인이 2,100만 개로 공급량을 고정한 반면, 파이는 사용자 수 증가에 따라 공급이 늘어나는 변동 공급 모델을 채택했습니다 (Pi Cryptocurrency White Paper | Pi Network) (Pi Network's Rapid Ascension - by Giottus - Medium). 초기 백서에 따르면, 각 신규 참여자마다 로그 함수로 감소하는 일정량의 Pi가 채굴되도록 함으로써, 초기 참여자에게는 보상을 주되 갈수록 채굴량이 줄어 네트워크 규모가 커져도 지나친 인플레이션을 막도록 설계했습니다 (Pi Cryptocurrency White Paper | Pi Network). 또한 추천인 보상(R)과 개발자 보상(D)을 각각 총채굴(M)의 50%, 25%로 책정하여, 커뮤니티 성장 기여(추천)와 생태계 기술 기여에도 인센티브를 부여했습니다 (Pi Cryptocurrency White Paper | Pi Network). 이 모델에 기반한 이론적 최대 공급량은 약 1000억 개로 추산되며, 프로젝트 팀은 2021년 12월 메인넷 이행과 함께 명확한 공급 상한 1000억 Pi를 선언했습니다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현재 파이코인의 토큰 분배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이러한 모델로 공정한 분배와 희소성 연출을 동시에 노렸지만, 잠재적 인플레이션 우려도 제기됩니다. 실제로 파이 네트워크는 가입자 100만, 1천만 명 돌파 시 등 여러 차례 채굴 속도를 절반으로 낮추는 할빙을 실행해왔습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그 결과 메인넷 이전까지 약 300억 개의 Pi가 누적 채굴되었으나, 가짜 계정이나 미인증 사용자의 물량을 제외하고 2023~2024년 KYC 이행을 거치면서 약 100억~200억 개 이하로 초기 유통량이 줄어들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이후 남은 약 450억 개 정도가 향후 수년간 새 채굴 보상으로 할당되며, 채굴량은 사용자 증가와 락업비율 등에 따라 점진 감소하는 연간 공급 제한 공식이 적용됩니다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경제 모델상 가치 상승 요인으로는 커뮤니티 규모실사용 수요를 꼽을 수 있습니다. 파이 네트워크는 이미 전 세계 3,500만 명 이상(KYC 통과 1,800만 명 이상)의 거대한 사용자 풀을 확보했는데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 The truth about Pi coin: Could it be the next Bitcoin? — TradingView News), 이러한 네트워크 효과는 파이코인의 잠재적 활용처(결제, 송금 등)를 늘리고 기업 제휴를 이끌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토큰 락업 제도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Pi를 일정 기간 동결하면 채굴 속도 보너스를 주는 등, 유통량 억제 정책으로 가격 안정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커뮤니티 내에서도 파이로 물건이나 서비스 거래를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이 있어, 생태계가 실현되면 실질적 수요가 가치 뒷받침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PI Coin Live Price Chart, PI to INR and PI to USDT live price and Market cap)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예를 들어 2023년 파이 해커톤에서 파이 결제 쇼핑몰, 프리랜서 마켓 등의 앱들이 개발되어, 메인넷 오픈 후 이러한 **디앱(dApp)**들이 실제 유틸리티를 창출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반면 가치 저해 요인으로는 몇 가지 리스크가 있습니다. 우선 공급량이 매우 크고(완전 희석 시 1000억 개), 초기 채굴자들의 물량 출회 시 가격 압박이 우려됩니다. 실제로 2025년 2월 오픈 메인넷 직후 거래소 상장 때, 그동안 락업되었던 파이들이 일부 풀리면서 가격이 일시적으로 큰 폭의 변동을 보였습니다 (The Pi Mainnet Launch – What It Heralds For The Pi Coin and Pioneers - Sify) (Pi Network responds to Bybit CEO’s scam allegations). 또한 내재가치 측면에서, 파이 네트워크가 아직 생산하는 부가가치가 제한적인 점이 지적됩니다. 사용자들이 하루 한 번 앱을 여는 행위 자체는 네트워크 보안 외에 별다른 가치 창출 활동이 아니며, 오히려 사용자가 보는 광고 수익이 주된 수익원이라면 토큰의 가치지지보다는 앱 운영사(코어팀)의 수익 모델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실제 AIMultiple 등의 분석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돈을 들이지 않지만 시간과 데이터를 투자하고 있으며, 파이 코어팀은 광고와 KYC 데이터를 통해 이미 이득을 보고 있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이러한 이유로 일각에서는 파이 코인이 실질적 가치 확보에 실패하면, 결국 파이를 받기 위해 들인 시간 대비 몇 센트 수준의 보상만 남을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요약하면 파이코인의 경제 모델은 초기 참여 유도와 광범위한 분배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었고, 향후 생태계 구축 여부에 따라 희소성과 수요가 결정될 것입니다. 낙관론자는 “수억 인구가 사용하는 글로벌 통화”를 꿈꾸며 가치 상승을 기대하지만, 회의론자는 “과도한 공급과 불투명한 수익구조로 본질 가치가 부족하다”고 우려합니다. 실제 가치 향방은 네트워크 효과를 실질 경제로 전환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4. 투자 관점 – 시장 위치와 투자 가치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파이코인 위치는 아직 특별합니다. 2025년 2월 오픈 메인넷 전까지 Pi 토큰은 공식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상태였고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수천만 명의 사용자가 있음에도 **시세가 존재하지 않는 “잠재적 대형주”**로 여겨졌습니다. 메인넷 공개 후 현재 OKX, 후오비(HTX), 비트겟 등 몇몇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가 시작되었는데, 초기 가격은 1~2달러 선에서 급등락을 겪었습니다 (The Pi Mainnet Launch – What It Heralds For The Pi Coin and Pioneers - Sify). 시가총액은 초반 $7억 달러 수준에서 변동 중이며(완전희석 시 총량 고려하면 더 높을 수 있음), 이는 상위 메이저 코인 대비 아직 낮은 편입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파이코인을 **“희망 고문 끝에 드디어 빛 본 코인”**으로 보는 시각과, **“가격 발견이 되자 신기루가 드러난 코인”**으로 보는 시각이 엇갈립니다.

투자 장점으로 거론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편 투자 단점과 위험도 분명합니다:

  • 불확실한 가치와 긴 락업: Pi 토큰의 실질적 유틸리티내재가치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아직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으로서 killer app도 없고, 가치 저장수단이나 결제수단으로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더구나 상당수 사용자들의 Pi는 메인넷 지갑에 있지만 장기간 락업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시장에 나오지 않은 잠재 매도물량”*이 언제 풀릴지 모르는 불확실성이 있습니다. 이런 요인들로 전통적인 투자평가가 어렵고 고위험 투기자산에 가깝습니다.
  • 규제 및 신뢰 이슈: 후술할 스캠 논란처럼, 주요 인사들이 파이를 사기나 폰지에 비유하는 등 레퓨테이션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Pi Network responds to Bybit CEO’s scam allegations). 실제 2023년 중국 공안은 파이를 *“노년층을 노린 사기”*라고 경고했고, 2025년 초 Bybit 거래소 CEO는 공개적으로 “파이는 스캠이며 상장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Pi Network responds to Bybit CEO’s scam allegations).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규제 당국이나 보수적 투자자들에게 파이에 대한 회의감을 심어, 향후 발전에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모바일 채굴”*이나 *“무료코인”*을 표방한 유사 프로젝트들도 계속 등장하고 있어, 파이의 **선발주자 이점(first-mover advantage)**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 검증된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비교하면 파이는 기술/신뢰 측면에서 크게 뒤쳐져 있어, 투자 대체재가 많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굳이 불확실성이 큰 파이에 베팅하기보다, 검증된 상위 코인에 투자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주요 투자자와 관련해서는, 파이 네트워크는 초기 ICO나 토큰 세일을 일절 하지 않았고 벤처캐피탈 투자를 받았다는 공식 발표도 없습니다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개발사인 SocialChain이 별도로 엔젤 투자를 받았을 수는 있으나 공개 정보는 없으며, Core Team 지분 20%가 사실상 창립팀과 기여자 몫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의미의 거물 투자자는 존재하지 않고, 오히려 수천만의 일반 참가자들이 시간과 개인정보를 투자하여 네트워크를 키운 셈입니다. 다만 이들 중 커뮤니티 리더들이나 초기 채굴량 상위 보유자들이 향후 사실상의 큰손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초창기부터 수십만 명의 추천인을 모은 일부 글로벌 앰버서더들은 상당한 파이 지분을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이 시장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투자 전망은 낙관과 비관이 교차합니다. 낙관론적 견해로는, 파이가 메인넷 출시 후 가격발견을 마치고 이제 본격적으로 가치 상승 국면에 진입할 수 있다는 기대가 있습니다. 실제 오픈 직후 변동성 장세를 거친 후 2025년 3월 현재 Pi 가격은 약 $1.5 내외로 안정되고 있으며, 일부 애널리스트는 2025년 말까지 $70대 돌파 가능성도 전망하고 있습니다 (PI Coin Live Price Chart, PI to INR and PI to USDT live price and Market cap). 반면 비관론자는, 공급량 완전 희석 시 파이의 적정 가치는 1개당 몇 센트에 불과할 거라고 합니다 – CCN 등의 분석에서는 *“모든 파이가 채굴되면 가격이 $0.15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극단적인 예측도 제기되었습니다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요컨대 파이코인은 극단적으로 고위험·고변동성 자산이며, 투자자는 커뮤니티의 잠재력토큰모델의 한계라는 두 측면을 모두 감안해야 합니다.

5. 출시 역사와 주요 변곡점 – 그리고 스캠 논란

파이 네트워크의 역사는 2019년 3월 14일 공식 출시로 시작됩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 The truth about Pi coin: Could it be the next Bitcoin? — TradingView News). 이후 프로젝트는 몇 가지 단계적 로드맵을 거쳐 왔습니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파이 코어팀은 지속적으로 개발을 진행했고, 2023년 3월 14일(4주년)에는 향후 일정을 담은 로드맵을 발표하여 투명성 제고에 나섰습니다 ( The truth about Pi coin: Could it be the next Bitcoin? — TradingView News). 그리고 드디어:

오픈 메인넷 출시는 파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변곡점입니다. 이를 기점으로 파이는 실제 블록체인 생태계의 일원이 되었고, 그간의 스캠 논란에 일정 부분 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2025년 2월 오픈 직전 기사에서 “메인넷 출시가 파이 네트워크가 약속을 이행하는지 판가름할 결정적 순간”이라고 평했습니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실제 현재 수백만 명의 사용자가 메인넷 지갑에 파이를 보유하고 있고, 탈중앙 거래실사용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물론 프로젝트가 완전히 의혹을 벗은 것은 아닙니다. 아직도 **“너무 늦게 열린 탓에 열기는 식었다”**거나 **“실체 없이 가격만 있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일단 기술적 마일스톤들은 대부분 달성된 만큼, 파이를 둘러싼 담론은 사기 여부에서 **성공 여부(실패 여부)**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한때 일각에서 *“폰지”*라 비난했던 파이코인은, 이제 실제 시장의 평가를 받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6. 각국의 반응 – 한국, 미국, 동남아, 중국의 인지도와 평가

파이 네트워크는 글로벌 프로젝트인 만큼 나라별로 열기와 평판에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 중국, 베트남 등에서는 대중적 인지도가 높고 큰 커뮤니티가 형성된 반면, 미국 및 서구권에서는 상대적으로 조용하고 전문가들의 비판적인 시각이 두드러집니다.

한국: 한국은 파이코인 열기가 특히 뜨거운 나라 중 하나입니다. 약 130만 명의 한국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며, ‘파이파파’ 등의 국내 커뮤니티 회원 수도 12만 명을 넘을 정도로 활발합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2021년 무렵부터 일부 소상공인들이 파이를 결제 수단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는데, 2025년 3월 현재 국내에 585곳 이상의 가맹점이 파이 결제를 받고 있습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서울에만 100여 곳, 지방 각지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카페, 미용실, 건설자재, 스포츠 용품점 등 업종도 다양합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한국 파이 사용자들은 커뮤니티 결속력이 강해, “1파이=100만원” 같은 낙관적 구호도 있었고, 파이 밸류를 높게 쳐서 거래하는 P2P 문화도 있었습니다. 실제로 국내 일부 개인 간 거래에서 파이 1개당 10만원(약 $80) 이상의 가치로 교환이 이뤄지기도 했는데, 정작 상장 후 시세는 $1~2에 불과하자 초창기 기대에 크게 못 미치게 되었습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그럼에도 국내 파이 지지층은 여전히 “후회 없다, 언젠가 오른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여러 언론 보도에서 파이코인의 합법성과 미래성을 두고 논쟁이 있지만, 일반인 인지도 면에서는 한국에서 성공적인 바이럴 마케팅 사례로 평가할 만합니다. 주요 유튜버들도 파이에 대해 다룬 바 있는데, 예컨대 토마토증권통 등의 경제 유튜브 채널에서는 파이의 구조적 위험을 지적하며 신중을 당부했고 (#파이네트워크(PI), 사기인가? 진실 뒤 숨겨진 비밀! - YouTube), 반면 생테크 연구소 등 일부 채널은 장밋빛 전망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파이네트워크 파이코인, 1PI = 3000$ 숨참고 이루어내봅시다.). 대체로 한국의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파이를 “혁신적인 시도이지만 리스크 큰 프로젝트” 정도로 인식하며, 공짜 코인인 만큼 해볼 가치는 있으나 실제 투자금 투입은 경계하는 분위기입니다.

미국: 정작 프로젝트 팀이 위치한 미국에서는 파이코인이 대중적 이슈가 된 적이 거의 없습니다. 미국의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메이저 자산이나 DeFi, NFT에 관심이 높고, Pi Network는 주로 이민자 커뮤니티나 개발자 커뮤니티 일부에서만 언급될 뿐이었습니다. 미국 주요 언론에서의 언급도 거의 없었고, 오히려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 같은 전문 매체에서 회의적인 분석 기사를 내놓는 정도였습니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 The truth about Pi coin: Could it be the next Bitcoin? — TradingView News). 가령 코인텔레그래프는 파이를 “모바일 앱+다단계 마케팅이 결합된 독특한 사례”로 소개하며, 투명성 부족과 MLM 구조에 대한 미국 전문가들의 우려를 전했습니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또한 2023년 12월 미국의 한 저명한 블록체인 개발자(코린스원 CEO 등)가 파이를 두고 *“이건 블록체인보단 [사용자 모집] 앱에 가깝다”*고 혹평하기도 했습니다. 종합하면, 미국 시장에서 파이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고, 알고 있는 사람들도 대체로 부정적 평판을 갖고 있었습니다. 다만 메인넷 출시 후 상황이 바뀌어, 미국의 거래소들도 파이 상장을 검토하고 있어 인지도는 자연스럽게 올라갈 전망입니다. 향후 파이가 진정 성공하려면, 암호화폐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미국/서구권 커뮤니티의 신뢰를 얻는 것이 과제가 될 것입니다.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 필리핀): 파이 네트워크가 폭발적 인기를 끈 지역이 바로 동남아입니다. 베트남에서는 2021년경 파이 열풍이 일어나, 대학생부터 주부까지 수백만 명이 파이를 채굴했습니다 (Vietnam Launches Investigation Into Pi Cryptocurrency, Are ...) (Vietnam Launches Investigation Into Pi Cryptocurrency, Are ...). 베트남 경제지가 파이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기사를 낼 정도로 사회적 이슈가 되었고 (Vietnamese blockchain expert raises red flags over Pi Network's ...), 베트남 공안당국이 2021년 말 파이 네트워크 조사에 착수했다는 보도도 있었습니다 (Vietnam Launches Investigation Into Pi Cryptocurrency, Are ...). 그만큼 대중적 관심이 높았으나, 한편으로 개인정보 유출 사건(2021년 5월경 베트남 파이 유저 1만여 명의 KYC 데이터가 유출되었다는 보고)이 터지며 논란도 컸습니다 (Analyst Defends Pi Network's Credibility Amid Scam Allegations) (5 Facts About Pi Network: Tokenomics, Starting Price, Data Leak ...).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커뮤니티는 여전히 매우 활성화되어 있어, 2023년에는 길거리 식당이나 상점들이 파이 부분결제를 받는 사례도 나타났습니다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예를 들어 호치민의 한 카페는 계산 시 총액의 일부를 파이로 지불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동(VND)화로 받는 식입니다.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도 베트남과 유사하게 파이 사용자가 다수 존재하며, 페이스북 등지에 수십만 명 규모의 국가별 Pi Network 그룹이 활동 중입니다 (The Pi Network is gaining significant popularity in Vietnam ...) (The Pi Network is gaining significant popularity in Vietnam ...). 동남아의 높은 인기는 아무래도 은행 인프라 미비, 화폐가치 불안 등으로 대안 금융에 관심이 많고, 모바일 중심 문화가 강한 사회적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Popularity of Pi Network in Asia vs US : r/PiNetwork - Reddit). 현지의 인플루언서들도 파이를 종종 언급했는데, 예컨대 베트남의 유명 애널리스트 Đăng Tuan 박사는 “파이는 중앙화 구조로 위험하다”고 지적했고 (Vietnamese blockchain expert raises red flags over Pi Network's ...), 반면 일부 지역 암호화폐 행사에서는 파이 지지자들이 홍보 부스를 운영하는 등 찬반이 혼재합니다. 종합하면 동남아에서는 파이가 *“희망의 코인”*으로 뜨거운 지지를 얻었지만, 동시에 정부의 주의보전문가들의 경고도 존재하는 양면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중국: 중국은 파이 네트워크의 사용자 규모로 보면 전 세계 1~2위를 다투는 핵심 지역입니다. 초기에 파이코인이 중국어권 소셜미디어(웨이보, 위챗 등)에서 퍼지며 수백만의 사용자를 모았고, 2020년대 초 광산마을(채굴공동체) 같은 것도 생겨났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2021년 이후 암호화폐를 전면 금지하는 추세였고, 파이 네트워크도 예외 없이 경계 대상이 되었습니다. 2022~2023년경 중국 각지의 공안국에서는 파이를 언급하며 *“가상화폐 스캠에 주의”*하라는 공고를 여러 차례 발표했습니다 ('When a crypto project...': Pi Network founder shares cryptic ...) (Pi Network responds to Bybit CEO’s scam allegations). 2023년 5월에는 후난성 공안국 보고서가 인터넷에 돌았는데, 여기서 Pi Network를 노인들을 현혹하는 사기로 규정하여 화제가 되었습니다 (Pi Network responds to Bybit CEO’s scam allegations). 이 보고서를 근거로 앞서 언급한 Bybit CEO가 파이를 맹비난한 것이죠. 중국 당국의 이런 입장 때문에 중국 내에선 공식적 모임이나 홍보는 어려웠으나, 지하 커뮤니티는 여전히 유지되어 왔습니다. 2023년에는 중국의 한 자동차 딜러(BYD 전기자동차 대리점)가 차량 가격 전액을 파이로 지급받는 이벤트를 열어 화제를 모았습니다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당시 해당 딜러는 파이 커뮤니티의 *“공정가격(GCV) 운동”*을 따라 1파이를 314159달러로 환산하는 파격 조건을 내걸었는데, 실제 거래가 성사되었는지는 불확실합니다. 이처럼 중국 파이 커뮤니티 일부에서는 **비현실적으로 높은 Pi 가치(예: 1파이=¥100만)**를 주장하는 등 과열 양상이 있었고, 정부의 부정적 시각과는 별개로 은밀하게 파이 경제권을 만들려는 움직임도 있었습니다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중국의 주요 블록체인 전문가들은 대체로 파이에 회의적입니다. 중국 블록체인 미디어 8BTC는 파이를 “코인 없는 채굴 게임”이라고 혹평했고, 유명 투자자들도 파이에 대해 언급을 삼갔습니다. 정리하면, 중국 당국은 파이를 사실상 불법시하고 있지만, 일반 개신(개인 투자자)들의 은밀한 관심은 여전히 큰 상태입니다. 파이 네트워크로서도 중국시장은 양날의 검인데, 엄청난 사용자 기반이 있음에도 공개 활동을 못하고 지하에 머물러야 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향후 중국 규제가 완화되거나, 혹은 파이 네트워크가 합법 테두리 안에서 활용될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7. 실생활 적용 가능성 – 결제 수단과 활용 사례

파이코인의 궁극적 목표는 실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암호화폐가 되는 것입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그렇다면 현재 파이가 실제로 결제나 경제 활동에 쓰이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느 정도 현실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현재까지 파이코인의 실사용 사례는 주로 커뮤니티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 한국에서 585곳 이상의 오프라인 가게들이 파이를 결제 옵션으로 받고 있고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베트남, 중국 등지에서도 일부 상점이나 개인 간 거래에 파이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예를 들어 중국 창사의 BYD 자동차 대리점은 파이로 전기차를 판매한다고 홍보했고, 베트남 하노이의 몇몇 노점상은 커피 한 잔 값을 부분적으로 파이로 받는 식입니다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필리핀에서도 Pi로 휴대폰 리필카드를 구매하거나 온라인 셀러들이 파이를 결제받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다만 이러한 거래들은 공식 화폐로서 승인된 것은 아니며, 참여자들 간의 합의로 이루어진 사적 교환에 가깝습니다. 즉 법적으로는 파이 가격을 임의로 책정해 물물교환하는 셈인데, 커뮤니티 내 “1파이 = XX달러” 합의 가격을 정해두고 그에 따라 교환하는 방식입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한국의 Pi 결제 가맹점 분포 지도 (비공식 ‘파이스토어’ 웹사이트 갈무리)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2025년 3월 현재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음식점, 미용실, 숙박업소 등 다양한 업종의 585개 매장이 파이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자발적 채택은 파이 커뮤니티의 결속력미래 가치에 대한 신뢰를 보여주지만, 한편으로 법정통화가 아닌 암호자산 결제이기에 제도적 불확실성도 안고 있다.

기업과의 공식 협업 및 활용은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파이코인 측은 2022~2023년 해커톤을 통해 스타트업들과 Pi 앱 개발 협업을 시작했고, 그 결과 앞서 언급한 이커머스 플랫폼, 소셜미디어 결제 플러그인, 구인구직 앱 등 몇 가지 시범 사례가 나왔습니다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예컨대 해커톤 우승작 중 하나인 PiChain Mall은 파이로 상품을 사고팔 수 있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구현했고, Pi Workforce라는 앱은 프리랜서 작업을 파이로 의뢰/보상하는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메인넷 오픈 후 실제 서비스를 개시하면, 파이의 실사용이 한층 현실화될 전망입니다. 또한 파이 네트워크 팀은 개발자 SDK와 API를 제공하여 외부 개발자들이 파이 결제를 손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이를 통해 향후 온라인 상점, 게임, 콘텐츠 서비스 등에 Pi 통합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제 수단으로서의 파이의 가능성은, 일단 암호화폐의 기본 요건인 가치 저장과 교환의 매개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파이는 극심한 변동성제한된 거래 채널로 인해 광범위한 교환 매개로 쓰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소액결제 수단으로는 흥미로운 잠재력이 있습니다. 파이 네트워크는 자체 블록체인 상에서 빠른 거래 처리거의 0 수수료를 구현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휴대폰만으로 쉽게 전송할 수 있어 송금/결제 UX도 간편한 편입니다. 따라서 해외송금이나 소액 팁 지불, 인터넷 커뮤니티 내 거래 등에서는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파이 지갑으로 Pi를 주고받는 것은 몇 초 내에 완료되고 수수료가 없어서, 사용자들끼리 실험적으로 커피값 정산 등을 해본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테스트넷 Pi로 실험).

현실적인 제약도 존재합니다. 우선 법적 인정 문제인데, 대부분의 나라에서 파이는 아직 공식 화폐나 법정 결제수단이 아니며, 심지어 증권인지 상품인지 규제 지위도 불분명합니다. 한국의 경우 암호자산을 이용한 결제가 법으로 금지된 건 아니지만, 소득세/부가세 처리, 소비자보호 등의 측면에서 회색지대입니다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중국처럼 아예 암호화폐 결제를 불법으로 보는 곳에서는 더더욱 파이의 실사용이 공공연히 확대되기 어렵습니다 (Pi Network Adoption Surges Despite Regulatory Warnings). 또한 인프라 부족도 있는데, 아직 파이를 바로 현금화하는 직접적인 결제 게이트웨이(예: Visa 카드 같은)의 부재로 인해, 사용자가 파이로 결제하면 상인은 그걸 즉시 법정화로 바꾸기 어려워 환율변동 리스크를 떠안아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현재 파이 결제를 받는 곳들은 파이 그 자체를 모으는 목적(투자 희망)으로 받아두는 경우가 많고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단기간 내 일반 대기업들이 파이를 결제 허용할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는, 파이가 **“암호화폐의 페이스북”**처럼 폭넓은 사용자층을 기반으로 하나의 경제圏을 이룰 수 있다고 봅니다. 커뮤니티 주도의 상점망이 늘어나고, 기업들이 마케팅 차원에서 파이 이벤트를 열며, 국제적으로 Pi를 사용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파이의 실생활 적용은 커뮤니티의 집단행동에 달려 있습니다. 수천만의 사용자가 꾸준히 가치를 신뢰하고 사용할 의향만 있다면, 그것이 기업과 정부를 움직여 공식 통용을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이 초창기엔 몇 센트로 피자 구매하는 데 그쳤지만 현재는 국가 법정화폐로도 채택되었듯이, 파이도 사용자 기반의 힘으로 차츰 현실 적용을 확대해나갈 잠재력이 있습니다.

8. 미래 전망 – 낙관적 vs 비관적 시나리오

파이 네트워크의 미래에 대해서는 희망적인 청사진우려 섞인 전망이 공존합니다. 이를 각각의 시나리오로 나눠 살펴보겠습니다.

◎ 낙관적 시나리오:
파이 네트워크가 궁극적으로 제2의 페이스북/위챗페이 같은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하는 그림입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파이가 메인넷 오픈 후 생태계 확장에 성공하여, 수많은 탈중앙앱(dApp)과 상거래가 파이 블록체인 위에서 이루어집니다. 사용자들은 파이를 일상 결제, 송금, 저축 등에 실제로 활용하고, 전 세계 중소상공인들이 결제수단으로 파이를 받아주기 시작합니다. 커뮤니티는 계속 성장하여 1억 명, 2억 명에 이르고, 이는 곧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토큰 수요 증가로 이어져 파이 가격도 안정적 상승 곡선을 그립니다. 개발팀은 지속적인 기술 업그레이드(예: 스마트 컨트랙트 완성, 익명성 개선 등)를 통해 타 블록체인과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고, 거버넌스도 커뮤니티 주도로 투명하게 이루어집니다. 규제 측면에서도 진전을 보여, 일부 국가는 파이를 합법적 결제수단으로 인정하거나 CBDC/금융앱과 연계하는 시도를 합니다. 이러한 낙관적 시나리오가 실현된다면, 파이코인은 암호화폐 역사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널리 쓰이는 결제형 코인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가격 전망도 밝아서,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위권 내에 진입하고, 1코인당 두 자릿수 달러 이상의 가치도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PI Coin Live Price Chart, PI to INR and PI to USDT live price and Market cap). 궁극적으로는 **“암호화폐 대중화”**라는 블록체인 업계 숙원을 파이가 이룩하면서,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면 파이는 디지털 캐시로 자리매김하는 미래입니다.

◎ 비관적 시나리오:
파이 네트워크가 하루살이 열풍으로 끝나는 그림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 경우, 메인넷 공개 이후 기대와 달리 생태계 활성화에 실패합니다. 사용자들은 막상 거래소에서 파이를 팔기만 하고 쓰지는 않아 유통속도 증가 -> 가치 하락의 악순환에 빠집니다. 가격이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예: $1 밑으로, 몇 센트대로) 남아 있던 열성 사용자들도 흥미를 잃고 이탈할 수 있습니다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네트워크 보안도 위태로워지는데, 신뢰 기반 합의는 대규모 활발한 커뮤니티를 전제로 하는데 사용자가 줄면 합의 노드 부족이나 신뢰그래프 왜곡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개발팀이 애써 구축한 dApp들도 이용자가 적어 유령 도시가 되고, 파이는 사실상 암호화폐 유령섬처럼 잊혀질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규제 측면에서 최악의 경우, 각국 정부가 파이를 금지하거나 제재해 공식 사용을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 예컨대 중국은 물론이고, 만약 미국 SEC 등이 파이를 미등록 증권으로 규정하는 사태가 온다면 거래소 상장폐지 등 치명타가 될 수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도 코어팀이 프로젝트를 지속할 동기를 잃거나(이미 광고수익 등 챙겼다면) 떠나버리면, 오픈소스 생태계가 약한 파이는 리더십 공백에 빠질 우려도 있습니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파이의 가치는 0에 수렴하며, 수년 뒤에는 “스마트폰 채굴 앱 유행했던 적이 있었지” 하는 추억 속 사례로 남게 될 것입니다.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원코인(OneCoin)**이나 이니셜BTC 같은 실패 사례와 비교되며, 초기 참가자들의 시간 낭비로 회자될 수 있습니다.

물론 현실의 미래는 이 두 극단 사이 어딘가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파이에 대해 “아직 사기로 단정할 수는 없지만, 장기 성공 여부와 토큰 가치에는 불확실성이 많다”고 평한 바 있습니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앞으로 1~2년 내 얼마나 활발한 생태계 활동이 일어나고 토큰 가치가 유지되는지가 파이의 운명을 결정짓는 중요한 가늠자가 될 것입니다. 성공 vs 실패의 기준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한 수억 명이 사용하는 유틸리티 코인이 되지 못한다면 파이가 내건 비전에는 못 미치는 것이고, 반대로 메이저 코인 반열에 올라 시총 수십조 원 규모가 된다면 대성공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으로서는 커뮤니티의 열정, 개발진의 실행력, 외부 환경 세 가지가 낙관과 비관 사이의 어떤 결과를 빚어낼지 지켜봐야 합니다.

9. ‘제2의 비트코인’ 가능성 – 유사점과 차이점 분석

파이코인은 종종 **“제2의 비트코인”**이라는 별칭으로 불립니다. 이는 주로 파이 커뮤니티와 홍보 과정에서 나온 말로, *“초기에 채굴해서 언젠가 비트코인처럼 대박 날 코인”*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과연 파이가 비트코인과 얼마나 닮았고, 또 얼마나 다를까요?

유사점:

  • 탈중앙 P2P 통화: 기본 개념 면에서 비트코인과 파이는 모두 은행 없이 개인들 간에 주고받을 수 있는 디지털 화폐를 지향합니다. 중앙 권한에 의존하지 않고 신뢰를 분산시키는 블록체인 철학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또한 둘 다 네트워크 참여자 보상(채굴) 메커니즘이 있어, 초기 참여자가 새 코인을 얻고 네트워크를 성장시키는 분산 네트워크 부트스트랩 과정을 거칩니다.
  • 커뮤니티 주도 성장: 비트코인은 공식 마케팅이나 회사 없이 자발적 지지자들에 의해 커뮤니티가 커졌는데, 파이 역시 대기업 지원 없이 일반 사용자들의 입소문으로 퍼졌습니다. 한국에서 파이 가맹점이 늘어난 것도 커뮤니티 노력 덕분이듯, 비트코인도 초기에는 사용자가 직접 가맹점을 설득하며 사용처를 넓혔습니다.
  • 반감기(채굴 보상 감소): 비트코인은 4년마다 채굴 보상이 절반으로 주는 할빙이 있고, 파이 역시 일정 가입자 증가 때마다 채굴률을 낮추는 유사 할빙 구조를 사용했습니다 (Pi Cryptocurrency White Paper | Pi Network)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이를 통해 두 코인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공급 증가율이 둔화되어 희소성을 강화합니다.
  • 일찍 시작한 자의 이득: 비트코인은 초창기 채굴자들이 대량의 BTC를 거의 공짜로 얻어 나중에 엄청난 부를 얻은 사례로 유명합니다. 파이도 초기 몇 년간 꾸준히 채굴한 선구자들은 수만 개의 Pi를 보유하기도 하며, 향후 가격 상승 시 막대한 이익을 볼 잠재력이 있습니다. 이런 “초기 참여자 보상” 특성이 두 프로젝트 모두 강합니다.

차이점: (비트코인 vs 파이코인)

  • 발행량과 희소성: 비트코인은 총 2,100만 개로 엄격한 공급 한도가 코드에 박혀 있고, 이 절대적 희소성이 가치의 중요한 기반입니다 (Pi Cryptocurrency White Paper | Pi Network). 반면 파이는 최대 1000억 개 가까이 공급될 수 있어 수량 면에서 5자릿수 배 차이가 납니다 (Summary of Tokenomics and Mining : r/PiNetwork). 파이는 다수에게 분배되도록 의도해 풍족한 공급을 택했는데, 이는 희소성 측면에서 비트코인과 크게 다릅니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 불리며 저장 수단으로 각광받지만, 파이는 거래 매개를 목표로 한 만큼 오히려 희소성을 완화한 모델입니다 (Pi Cryptocurrency White Paper | Pi Network). 요약하면 BTC는 극소수 정예 통화, Pi는 다수 대중 통화 지향으로, 토크노믹스 철학이 상반됩니다.
  • 합의 메커니즘: 비트코인은 Proof of Work 작업증명으로 전 세계 채굴자들이 복잡한 연산 경쟁을 통해 블록을 만들고 보안성을 담보합니다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반면 파이는 앞서 설명한 대로 **연방비잔틴합의(FBA)**를 활용한 신뢰 기반 합의를 씁니다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PoW는 탈중앙과 검열저항 면에서 검증된 가장 보안성 높은 방식이지만 에너지 소모확장성 한계 단점이 있고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파이의 SCP/FBA 방식은 에너지 효율속도는 뛰어나나 신뢰 노드에 대한 의존상대적 중앙화 위험이 있습니다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즉, 비트코인은 “전기를 태워 얻는 신뢰”, 파이는 **“사람 사이 신뢰로 얻는 신뢰”**로, 근본 원리가 다릅니다.
  • 탈중앙화 수준: 비트코인은 창시자 사토시도 사라졌고 개발/의사결정이 모두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의해 이루어지며, 어느 한 조직이 통제할 수 없는 완전 탈중앙 시스템입니다. 반면 파이는 현재까지 코어팀이 상당 부분을 결정하고 이끌어왔고, 코드베이스도 부분 공개에 그치는 등 사실상의 중앙 통제 요소가 강합니다 (What is Pi Network? Is it a scam?) ( The truth about Pi coin: Could it be the next Bitcoin? — TradingView News). 예컨대 비트코인은 누구나 노드 참여 가능하고 소스코드 포크도 자유지만, 파이는 KYC된 사용자만 메인넷에 접근하고 노드도 승인된 형태로 운영되어왔습니다. 향후 파이가 더 탈중앙화된다고 해도 초기 출발 지점의 중앙화 정도는 비트코인과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점은 *“제2의 비트코인”*이라 부르기 어렵게 만드는 핵심 차이입니다.
  • 투명성 및 익명성: 비트코인은 창시자 정체(사토시)가 익명이고, 초기에도 개발팀보다는 프로토콜 그 자체에 신뢰를 뒀습니다. 반면 파이는 창립팀이 실명과 경력을 전면에 내세워 신뢰를 얻고자 했습니다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스탠퍼드 박사들이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나, KYC를 통해 사용자 실명 인증을 한 점 등에서, 두 프로젝트의 문화는 정반대입니다. 하나는 사람을 믿지 않고 코드만 믿게 했고, 다른 하나는 코드보다 사람(네트워크 멤버)의 신뢰를 중시했습니다. 이 차이는 곧 보안과 신뢰성 차이로 이어집니다. 비트코인은 오로지 수학적 기법으로 안전성을 확보하지만, 파이는 “신뢰가 깨질 경우” 보안이 위험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Pi Network: Why Your Coins May Be Worthless).
  • 법적/사회적 포지셔닝: 비트코인은 정부나 기존 금융에 도전하는 탈권위적 통화로 받아들여졌고, 금지와 규제를 겪으면서도 “디지털 금” 지위를 얻었습니다. 파이는 비교적 순응적으로 각국 규제에 맞추려 하고, “모두에게 이로운 보조적 통화” 이미지로 다가가려 합니다. 이를테면 비트코인은 초기에 다크웹 등에서도 쓰이며 무정부주의적 색이 짙었지만, 파이는 KYC 준수AML/KYC 요구를 받아들였고, 사용자들도 비교적 제도권 우호적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엘살바도르가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한 것처럼 극단적 시나리오가 아니고서는, 파이가 국가 단위 공식통화로 채택될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대신 지역 커뮤니티 통화민간 포인트 비슷한 형태로 자리잡을 수는 있겠습니다.

이처럼 파이는 비트코인과 닮은 점보다 다른 점이 많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이를 *“제2의 비트코인”*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비트코인 신화의 재현 기대감 때문입니다. 많은 일반인들에게 비트코인은 이미 너무 비싸고 늦은 감이 있는 반면, 파이는 초기에 참여하여 미래에 큰 이익을 볼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비춰졌습니다. *“비트코인을 놓쳐서 후회한다면, 지금 파이를 잡아라”*라는 식의 홍보 문구가 대표적입니다. 실제로 2021년 불장 때 파이 사용자들이 “비트코인도 10년 전엔 무료나 다름없었다”, “파이 10년 후엔 1억 된다” 등의 희망 섞인 말을 주고받곤 했습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 마케팅이 파이 성장에 주효했지만, 동시에 과도한 기대를 불러 비판도 받았습니다.

전문가들은 파이가 진정 제2의 비트코인이 되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합니다. 무엇보다 탈중앙성과 신뢰 확보가 핵심입니다 ( The truth about Pi coin: Could it be the next Bitcoin? — TradingView News). 비트코인은 한 번도 해킹되거나 조작된 적이 없지만, 파이는 아직 완전한 공개 검증을 거치지 않아 보안성과 독립성을 증명해야 합니다. 또한 희소성 부분도 비트코인만큼의 강력한 가치부여 요소가 없기 때문에, 대신 **유틸리티(사용처)**를 제대로 만들어내야 합니다. 요컨대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 **파이는 “디지털 현금”**이라는 각자의 역할에 충실할 때 비로소 공존하며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비트코인과 파이의 관계를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비트코인이 문을 연 탈중앙화 금융 세계에, 파이는 대중을 불러모은 입장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이가 진짜로 Next Bitcoin이라 불릴 날이 올지, 아니면 수많은 알트코인처럼 Bitcoin에 영광을 비교당하며 사라질지, 그 운명은 앞으로 2~3년 파이 네트워크의 행보에 달려 있습니다.

참고 자료: 본 리포트 작성에는 Stanford Daily, Cointelegraph, 한국경제, CCN 등 다양한 출처의 정보를 인용하였습니다 (Stanford grads develop cryptocurrency for smartphone users to increase its accessibility) (파이코인 국내 결제 매장 600곳 육박…폰지 논란에도 업주들 여전히 신뢰 | 한국경제) (Pi Network responds to Bybit CEO’s scam allegations). 객관적 데이터와 커뮤니티 동향을 균형 있게 반영하려 노력하였으며, 기술적 상세와 시나리오 분석에는 파이 백서와 다수의 전문 기사 내용을 참고했습니다 (How can Pi be mined on mobile phones without energy consumption typically known in “crypto mining”? | Pi Network) (Will Pi Network make you rich? No, but it can pay cents per hour). 파이 네트워크는 여전히 진행 중인 프로젝트인 만큼, 향후 새 소식과 발전 상황에 따라 평가도 달라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합니다. 🡒

반응형